P – 15 – 2012
1. 용어의 정의
(가) “위험기반검사(Risk Based Inspection, RBI)”란 설비의 고장발생 가능성과 사고
피해 크기의 곱에 의해 결정되는 위험도에 의해 검사의 우선순위를 결정하는
기법을 말한다.
(나) “고장발생 가능성(Likelihood of failure, LOF)”란 설비의 고장발생확률 및 고장
발생 빈도를 말한다. POF
(다) “사고피해 크기(Consequence of failure, COF)”란 사고에 의해 영향을 받는 장
치 손상범위 또는 재정적 손실의 크기를 말한다.
(라) “손상메커니즘(Damage mechanism)”이란 설비를 손상시키는 부식 또는 기계
적 작용을 말한다.
(마) “설비변경계수(Equipment modification factor, FE)”란 기술종속계수, 보편적
종속계수, 기계적 종속계수, 공정 종속계수에 의해 결정된 설비의 복잡성을 나
타내는 인자를 한다.
(바) “관리시스템 평가계수(Management system evaluation factor, FM)”란 공정안
전 관리시스템의 차이에 의해 일반 고장 발생 빈도를 보정하기 위한 인자를 말
한다.
(사) “검사표준(Specific equipment inspection plan, SEIP)”이란 설비의 검사를 위하
여 검사부위, 부식원인, 완화 및 예방, 감시 등을 표준화하여 검사에 대한 계획
을 수립함을 말한다.
(아) “검출시스템(Detection system)”이란 화학물질의 누출 시간을 줄이기 위해 설
치되는 감지기 등을 말 한다.
(자) “차단시스템(Isolation system)”이란 누출 량을 줄이기 위해 설치된 밸브 등을
말한다.
(차) “완화시스템(Mitigation system)”이란 위험물질의 누출 영향을 차단하고 줄이
기 위해 설치되는 시스템을 말한다.
(카) “인벤토리 그룹(Inventory group)”이란 누출 설비에서 블록을 형성할 수 있는
구간에 속한 모든 설비를 말 한다.
2. RIB 수행절차
1 단계(RBI 수행 전 단계)는 RBI를 수행하기 위한 팀 구성, 시스템화(P&ID 및
PFD에 유체정보 및 인벤토리 구간을 정의), 자료 수집/분석의 단계로 구성된다.
2 단계(위험성 평가 단계)는 수집 및 분석된 자료를 RBI 프로그램에 입력하여 정
성적인 방법 또는 정량적인 방법으로 개별 설비에 대한 위험도 산출하여 평가하는
단계이다.
3 단계(상세 평가 단계)는 정량적으로 평가된 설비의 위험도를 기준으로 상세 평
가가 필요한 설비에 대하여 설비의 위험경감 방안 수립 및 잔여수명(RUL)을 평가
수행하는 단계이다.
4 단계(검사계획 단계)에서는 검사주기, 검사부위 및 검사방법 등을 정의하여 표준
검사계획(SEIP)을 수립하는 단계이다. 표준검사계획이 수립되면 검사계획보고서
에 의해 유지·관리되며, 검사를 수행 후 2단계에서 검사이력을 반영하여 지속적으
로 피드백(Feedback)될 수 있도록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