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전밸브 등의 설치대상 및 설정압력
참조문헌:
한국안전보건공단 기술지침
API RP 520 및 521
NFPA 30
OSHA CFR 1910.106
BS 6759 part III
사업장에서 취급시설을 설치하고 운영함에 있어 인화성 가스 , 인화성 액체의 증기, 독성물질 등을...
근로자건강진단 실무지침, Guidelines for Health Examination of Workers
Refer to Link
员工健康检查实用指南
특수건강진단제도는 직업병 예방과 근로자의 건강보호·증진을 위한 중요한 수단의
하나이며 우리나라 산업보건의 발전과 함께 해 온 역사적...
위험물안전관리법-예방규정
대통령령이 정하는 제조소등에서는 위험물을 제조, 사용, 보관, 저장 , 이송하는 사업장 중에서 상당한 량을 사용하는 사업장의 안전을 확보하기 위해 해당 제조소등의 사용을 시작하기 전에...
[ESS -리튬 배터리]
http://www.e2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200025
전력저장장치(ESS)에 사용되는 리튬 배터리가 언제 터질지 폭탄 신세다. 특정사 배터리의 경우 이미 대형화재를 포함해 수차례 폭발이 있었음에도 아직 정확한 원인조차 규명되지 않고 있고,...
리튬 염화티오닐 1차전지
리튬 염화티오닐 1차전지
리튬과 염화티오닐 1차 전지의 화재 및 폭발의 위험성을 기술하여 1차전자 사업장에서 정확한 자료를 바탕으로 안전보건관리 할 수 있도록 제한적인 정보를 제공하며 향후...
[중대재해처벌법 해설(1)]
중대재해 처벌 등에 관한 법률 ( 약칭: 중대재해처벌법 )
제1조(목적) 이 법은 사업 또는 사업장, 공중이용시설 및 공중교통수단을 운영하거나 인체에 해로운 원료나 제조물을 취급하면서 안전ㆍ보건...
난연제를 넣은 리튬이온배터리용 분리막을 개발
미국 스탠퍼드대 연구진은 불이 잘 붙지 않는 물질인 '난연제'를 넣은 리튬이온배터리용 분리막을 개발했다고 14일 밝혔다.
휴대전화나 노트북, 태블릿PC 같은 전자기기에 널리 사용되는 리튬이온배터리는 전자가 두...
사업장 위험성평가에 관한 지침 (2023.5.22)
사업장의 건설물, 기계,기구,설비, 원재료, 가스, 분진, 근로자의 작업행동, 그 밖의 업무(체육행사 등)로 인한 유해 위험요인을 파악하고 부상과 질병으로 이어 질 수 있는 위험성을 결정하고...
[위험물 소화설비 선정기준]
첨부 <개정 2016. 8. 2.>
소화설비, 경보설비 및 피난설비의 기준 (제41조제2항·제42조제2항)
옥내저장소의 위치·구조 및 설비의 기준
제조소의 위치·구조 및 설비의 기준
화학물질관리법 상 유해화학물질이며 위험물안전관리법...
위험물 운송책임자의 감독 및 지원
위험물 운송책임자의 감독 및 지원
위험물을 TankLorry에 저장하여 이송하는 사업자는 많은 양의 위험물을 저장하여 이동하므로 상차 하역시 세심한 주의를 필요하다. 또한 화학물질관리법, 위험물안전관리법에서는 취급시설기준에 필요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