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연성 가스 인화성 가스 구분
인화성 가스에 포함하는 기준을 아래와 같이 설명하고자 한다.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규칙
인화성 액체 중 인화점이 35도 이하인 물질의 증기
2. 수소
3. 아세틸렌
4. 에틸렌
5. 메탄
6. 에탄
7. 프로판
8. 부탄
9....
화학물질관리법-자체점검
유해화학물질을 취급하는 사업장에서 선임된 점검원이 정상적으로 설비가 가동 중 일상적으로 취급시설에 대한 점검을 짧은 주기로 하여 사고가 나는 것을 미리 방지하기 위해 제정된 점검기준이다.
1....
개인보호구 착용
화학물질을 사용하는 사업장에서 유출, 누출로 인한 건강장해 예방을 위해 법적으로 개인보호구 착용에 대한 의무사항을 설명하고자 한다.
1. 화학물질관리법
"호흡보호구"라 함은 유해화학물질의 유출ㆍ폭발ㆍ화재 등으로 인해 오염된 공기...
위험물 적재차량 운전자 교육
위험물 적재차량 운전자 교육 (선박안전법)
위험물 적재차량 운전자의 경우에는 타법에서 정하는 운반자 교육을 이수하는 경우에 위험물 젖재차량 운전자 교육을 면제하고 있으나 그 세부 내용을 명화하게...
안전진단 세부내용
안전진단 시 세부사항을 살펴본다.(편집 중)
화학물질관리법에 의해 화학공장을 설계하여 시공할 경우 취급시설 설치기준 상의 주요 기술기준과 세
부기준을 만족하는 기계적인 준공(Mechnical Completion)을 하여야 하고 이후 정기검사,...
[위험물 소화설비 선정기준]
첨부 <개정 2016. 8. 2.>
소화설비, 경보설비 및 피난설비의 기준 (제41조제2항·제42조제2항)
옥내저장소의 위치·구조 및 설비의 기준
제조소의 위치·구조 및 설비의 기준
화학물질관리법 상 유해화학물질이며 위험물안전관리법...
개인보호장구 – 공기 호흡기(SCBA)
일반 공공지역 및 건축물 등에서 화재 발생 시 유독가스의 흡입은 인체의 생명과 직결되는 아주 중요한 위험관리의 요소가 된다.
SCBA
이번 블로그에서는 호흡보호구와 관련된 내용을 아래와 같이...
NFPA 921
일부 부분적인 내용을 Monthly 업데이트 하고 있으며 최종 완료 되면 추가로 공지합니다.
Some partial contents are being updated monthly, and additional notices will be announced...
사업장 산업재해율 조회결과 (구 산업재해율 확인서)
산업안전보건법 제4조 7. 산업재해에 관한 조사 및 통계의 유지관리를 위해서 산업재해에 관하여 조사하고 이에 관한 통계를 유지관리하여 산업재해 예방을 위한 정책수립 및 집행에 적극...